사운드스케이프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는 소리(sound)와 풍경(landscape)을 더한 말로 ‘소리 풍경’으로 옮길 수 있다. 캐나다의 작곡가인 머레이 셰이퍼가 정립한 용어로, 소리를 단순한 물리가 아니라 문화 가치를 담은 것으로 인식하는 개념이다. 소리에는 계절 변화가 담겨 있기도 하고, 지역이나 개인 삶과 역사가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본다. 소리가 갖는 가치를 반영하여 공간이나 풍경을 디자인하는 것을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이라고 한다.
머레이 셰이퍼는 사운드스케이프가 나쁜 쪽으로 계속 바뀌고 있다고 보고 있다. 현대인은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급변하는 음환경의 세계에 살고 있다. 소리의 세기와 질에 있어서 과거의 소리와는 다른 이 새로운 소리들은 보다 널리 세계 곳곳에 분별없이 번져나갈 위험성을 갖고 있다. 현재 소음공해는 세계적인 문제인 것이다. 우리 시대에 세계의 사운드스케이프는 열악함의 극치를 달리고 있어 지금 손을 쓰지 않으면 전세계는 결국 귀머거리가 될 지경이라고 한다. 하이파이 사운드스케이프는 환경소음레벨이 낮고, 개개의 소리를 명확하게 들을 수 있는 상황을 의미한다. 시골은 도시보다 하이파이 상태이고, 밤은 낮보다, 고대는 현대보다 하이파이 상태이다. 하이파이 사운드스케이프에서 소리가 겹치는 일은 별로 없다. 주위가 조용하기 때문에 매우 먼 곳의 소리까지도 들을 수가 있다. 반면에 로우파이 도시에서는 먼 곳의 소리를 듣는(그리고 보는) 능력을 잃어버렸고, 이는 지각의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변화 가운데 하나이다. (80쪽 발췌)
로우파이 사운드스케이프에서 개개의 음향 신호는 다른 소리에 파묻혀 있다. 눈을 밟는 소리, 계곡에 울려퍼지는 교회 종소리, 혹은 짐승이 갈대 사이를 오가는 소리 같은 미세한 소리는 다른 커다란 잡음으로 어느새 사라져 버린다. 그리고 원근감을 잃어버렸다. 현대 도시의 번화한 길모퉁이에서 거리감은 찾아볼 수 없다. 모든 방향에서 소리가 날아들어 혼선 상태가 되며, 아주 평범한 소리조차 그것을 듣기 위해서는 자꾸 귀를 기울이지 않으면 안 된다. 하이파이 사운드스케이프에서 로우파이 사운드스케이프로 변화한 것은 몇 세기에 걸쳐 서서히 일어난 것이다. 그러나 이것을 개선하기 위해 몇 세기를 써서는 안 될 만큼 소음공해가 심한 상황이다.
사운드스케이프를 새롭게 디자인해야 한다.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이너가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듣는 법을 배우는 것이다. 귀의 세척(Ear Cleaning)이 곧 그것이다. 귀를 깨끗하게 씻어 내는 일에 도움이 되는 과제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침묵을 존중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운드스케이프 일기를 쓴다든가, 소리산책(Soundwalks)을 한다든가 하는 방법으로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세계에 들어가야 한다. 예술과 과학의 새로운 종합 분야인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지시에 따르면서, 소리에 대한 모든 부정적인 활동을 긍정적인 활동으로 바꿔야 한다. 그것은 고요한 숲을 되찾는 것뿐만 아니라 고요한 시간도 되찾는 것이어야 한다. 그리고 마침내 우리가 사는 환경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폭넓은 것으로 통합되어야 한다.
캐나다 작곡가 머레이 쉐이퍼의 사운드스케이프 연구서.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는 현대사회에서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 특히 청각을 중심으로 한 소리환경을 어떻게 해결하고 펼쳐나가야 할지 그 근본부터 다시 묻고 파헤치고자 하는 이념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음향세계를 널리 확대하고 있는 사운드스케이프의 큰 이념과 사상을, 그리고 인간과 소리풍경과의 관계성으로부터 구체적인 창조활동을 전개하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개념을 소개한다.
본문의 내용은 크게 4개의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제1부와 제2부는 신화의 시대에서부터 산업혁명을 거쳐 현대 전자의 시대에 이르는 사운드스케이프의 역사에 대해 적고 있으며, 제3부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실천을 향한 중요한 과정으로서 사운드스케이프 분석 상의 문제를, 끝으로 제4부는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으로서 중요한 테마인 청취, 음향공동체, 리듬과 템포 등의 주제를 다루었다.
이 책은 소리환경에 대한 학문적 연구결과를 제공하는 한편,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을 조망하고자 문학과 신화는 물론 인류학과 역사적인 기록을 아우르는 등 교양서로서의 역할도 충실히 해내고 있다.
머리말
서문
산업디자인에서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으로 I 오케스트레이션은 작곡가의 일 I 음악의 아폴론적 개념과 디오니소스적 개념 I 음악과 사운드스케이프 그리고 사회복지 I 사운드스케이프의 기보법 I 귀의 증인 I 사운드스케이프의 특징 I 귀와 투청력 I 특별한 감각
제1부 최초의 사운드스케이프 First Soundscapes
제1장 자연의 사운드스케이프 The Natural Soundscape
바다의 소리 |물의 변형 |바람의 목소리 |기적의 땅 |독특한 소리 |묵시록의 소리
제2장 생명의 소리 The Sounds of Life
새의 노래 |세계의 새들의 심포니 |곤충 |수서생물의 소리 |동물의 소리 |인간은 말소리와 음악으로 사운드스케이프를 만든다
제3장 전원의 사운드스케이프 The Rural Soundscape
하이파이 사운드스케이프 |목장의 소리 |사냥하는 소리 |우편마차의 나팔 |농장의 소리 |전원 사운드스케이프의 소음 |성스러운 소음과 세속적인 침묵
제4장 마을에서 도시로 From Town to City
하느님이 들으실 수 있게 |시간의 소리 |그 밖의 초점 |기조음 |밤과 낮의 소리 |말과 마차의 기조음 |일의 리듬이 변화하기 시작하다 |거리의 호객상인 |도시의 소음 |선택적인 소음규제 -거리의 호객상인은 사라져라
제2부 산업화 이후의 사운드스케이프 The Post-Industrial Soundscape
제5장 산업혁명 The Industrial Revolution
산업혁명의 로우파이 사운드스케이프 |기계소리가 마을과 시골을 꿰뚫고 나가다 |소음은 권력 |소리의 제국주의 |소리의 평탄한 선 |열차에 얽힌 전승 |내연기관 |근육음의 증대 |커다란 소리의 배설구, 하늘 |비행사의 난청 귀 |반혁명
제6장 전기혁명 The Electric Revolution
소리분열증 |라디오-확장된 음향공간 |방송의 형태 |소리의 벽 |무자크 |근원음 또는 중심음
간주곡 Interlude
제7장 음악, 사운드스케이프, 변용하는 지각 Music, the Soundscape and Changing Perceptions
야외생활을 대신하게 된 콘서트홀 |음악, 새의 노래 그리고 전쟁터 |사냥용 뿔피리는 콘서트홀의 벽을 뚫고 전원을 다시 연주한다 |오케스트라와 공장 |음악과 환경의 만남 |반작용 |상호작용 |성스러운 소음의 새로운 주인 |가청영역에 대해서 |음악과 사운드스케이프에서 저음에 대한 반응 |해저 고향으로 귀환 |내부공간의 통합을 향해서
제3부 분석 Analysis
제8장 표기 Notation
청각적 이미지 198|3차원 음향이미지의 문제점 |음향학자는 세계 제일의 읽고 이해하는 전문가 |음향체, 음사상, 음풍경|공중의 소노그래피
제9장 분류 Classification
소리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분류 |소리의 지시기능에 따른 분류 |미적 특질에 따른 분류 |소리의 컨텍스트
제10장 지각 Perception
도형과 배경 |음향적 능력 |청각의 열쇠로서의 음악 |원근법과 강약법 |제스쳐와 텍스쳐
제11장 형태학 Morphology
나무에서 플라스틱으로 |발에서 항공타이어로 |호른에서 무전으로 |래치트에서 사이렌으로 |형태학적 연구의 가치에 대한 결론
제12장 상징주의 Symbolism
바다로 회귀 |바람은 변덕스럽다 |만다라와 벨 |호른과 사이렌 |변천하는 상징성
제13장 소음 Noise
소음의 정의의 전개 |소음의 위해성 |환경소음레벨은 얼마나 빠르게 올라가고 있는가? |커지는 환경소음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소음규제 법률의 몇 가지 측면 |세계적으로 살펴보는 도시의 소음규제법령 |소음규제 법률 연구가 어떻게 문화의 차이를 밝힐까? |언어의 소음 |금기음
제4부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을 향하여 Toward Acoustic Design
제14장 듣다 Listening
음향생태학과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모듈 |이어 크리닝 |사운드스케이프의 여행자 |소리산책
제15장 음향 공동체 The Acoustic Community
음향 공간 |음향 공동체 |실외의 소리와 실내의 소리 |고대의 음향기사였던 건축가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플러스와 마이너스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이너로서 현대 건축가
제16장 사운드스케이프의 리듬과 템포
Rhythm and Tempo in the Soundscape
심장, 호흡, 보행 그리고 신경계 |자연의 사운드스케이프의 리듬 |마을 생활의 리듬 |라디오 방송의 리듬
제17장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이너 The Acoustic Designer
사운드스케이프 디자인의 원리 |표식음의 보존 |사운드스케이프의 수정 |멋없는 전화벨 소리 |자동차의 경적 |이상향의 사운드스케이프
제18장 울림의 정원 The Soniferous Garden
웅변하는 물 |바람의 정령
제19장 침묵 Silence
고요한 숲과 시간 |침묵의 의식 |서양인과 부정적 침묵 |적극적인 침묵의 회복
에필로그 음악을 넘어서
옮긴이의 글
부록
사운드스케이프 용어집
인용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