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이 책은 저희 교수님께서 쓰신 책인데 교수님께서 꼭 한 번 읽어보았으면 좋겠다는 말에 혹해 주문했습니다. 근데 구성면에서도 내용면에서도 정말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고전이라는 것이 말만 들으면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세세하게 동양 도전을 소개해 줍니다. 소단원마다 동양 고전 하나씩 소개하고 있는 구성이며 각 동양 고전마다 글을 쓰시는 교수님들이 달라집니다. 교수님마다 다른 글쓰기를 보는 것도 재미있는 요소 중에 하나였습니다. 1도 재밌게 봐서 지금 2도 주문해놓은 상태입니다!
동양의 고전은 한마디로 인문학의 보고이다. 수천 년의 담금질을 거쳤기에 그 가치는 더욱 황금으로 빛난다. 아울러 문학 고전은 장구한 세월동안 수많은 사람들의 심금을 울리며 감성을 살찌우고 예지를 밝혀왔다. 특히 종래 불가능할 것 같았던 인체의 생산과 조작이 가능한 생명공학의 시대에 진입하는 등 과학기술의 진보가 가져온 유례없는 격변의 시대에 우리로 하여금 근본적으로 인간이 무엇인지를 따져 묻는다는 점에서 21세기는 동양의 가치, 동양의 고전에 주목한다.
서양 고전에 편중된 시각을 바로잡고 동양인의 사유의 뿌리를 찾아가게 하는데 주안점을 둔 동양의 고전을 읽는다 (전4권)는 안광복(서울 중동고 철학교사), 우찬제(서강대 국문학과 교수), 이재민(휴머니스트 편집주간), 이종묵(서울대 국문학과 교수), 정재서(이화여대 중문학과 교수), 표정훈(출판 평론가), 한형조(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등 7인의 편찬위원회가 각계 전문가들의 추천을 결산하여 역사, 정치, 사상, 문학에 걸쳐 주옥같은 동양의 고전을 망라하여 선정한 72종의 고전을 66인의 저자들이 공동 참여하여 1권-역사ㆍ정치, 2권-사상, 3권-문학 상, 4권-문학 하 등 4권에 나누어 담았다.
1. 역사, 그 성찰의 기록
ㆍ한자(漢字)의 모든 것-허신(許愼)의 설문해자(說文解字) /손예철(한양대 중문과 교수)
ㆍ동양 정치사상의 원천-서경(書經) /심경호(고려대 한문학과 교수)
ㆍ역사의 혼, 불멸의 역사서로 부활하다-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이인호(한양대 중국학부 교수)
ㆍ제왕을 위한 책-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資治通鑑) /권중달(중앙대 사학과 교수)
ㆍ문명 성쇠의 비밀을 밝혀낸 이슬람의 고전-이븐 할둔의 역사서설(歷史序說) /김호동(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ㆍ왜(倭)의 역사가 아닌??일본국(日本國)의 역사를 쓰다 일본서기(日本書紀) /이근우(부경대 사학과 교수)
2. 정치의 기술에 대한 충고
ㆍ난세의 부국강병-상앙(商?)의 상군서(商君書) /장현근(용인대 중국학과 교수)
ㆍ성왕이 다스리는 나라-순황(荀況)의 순자(荀子) /장현근(용인대 중국학과 교수)
ㆍ대립과 통일의 변주곡-유안(劉安)의 회남자(淮南子) /윤찬원(인천대 윤리학과 교수)
ㆍ염철 논쟁을 통해서 보는 고대 중국 사회-환관(桓寬)의 염철론(鹽鐵論)/김한규(서강대 사학과 교수)
ㆍ지도자와 국민이 함께 읽는??토론 정치의 경전-오긍(吳兢)의 정관정요(貞觀政要) /김원중(건양대 중문학과 교수)
3. 유학과 근대 세계
ㆍ만민(萬民)을 위하여 전제 군주제를 비판하다 -황종희(黃宗羲)의 명이대방록(明夷待訪錄) / 조병한(서강대 사학과 교수)
ㆍ근대의 여명기에 타오른 유학의 마지막 불꽃 - 강유위(康有爲)의 대동서(大同書) / 황희경(영산대 학부대학 교수)
ㆍ주자학의 해체와 근대적 사유의 탐구-마루야마 마사오(丸山眞男)의 일본정치사상사 연구 / 김석근(연세대 정외과 교수)
ㆍ마르크스 이론의 중국적 변용 - 마오쩌뚱(毛澤東)의 실천론 과 모순론 / 김승일(국민대 한국학연구소 교수)
ㆍ유학의 제3기 발전론- 뚜웨이밍(杜維明)의 유학 제3기 발전의 전망 문제 / 이승환(고려대 철학과 교수)
카테고리 없음